본문 바로가기
Study/IT 비즈니스

[모빌리티] 강남에서 자율주행 차량 호출 가능해지나?

by broaden_ 2022. 8. 4.

#자율주행 단계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자율주행 해외 사례

 

기사 요약

현대차그룹은 자율주행 4단계* 기술을 적용한 '아이오닉 5'로 차량호출 서비스인 ‘로보라이드’의 실증을 진행한다. 이는 서울에서 가장 혼잡한 지역인 강남구 영동대로(왕복 14차로)와 서초구 테헤란로(왕복 10차로) 일대 등에서 이뤄질 것이다.

현대차그룹은 복잡한 도심 내 자율주행을 위해 관련 인프라를 구축해왔다. 서울시와 협력해 교통신호와 차량을 연동했고, 2019년부터 강남 지역에서 자율주행 시험을 반복했으며, 자체 관제 시스템으로 자율주행 차량을 실시간 모니터링 해 주행 안정성을 높였다.

8월부턴 일반인 탑승이 가능하다. 평일 오전 10시-오후 4시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안전 교육을 이수한 운전자 한 명이 운전석에 서 비상 상황에 대응할 것이고, 승객은 최대 3명까지 탈 수 있다.

*자율주행 4단계: 차량의 자동화된 시스템이 상황을 인지 및 판단해 운전하고, 비상 시에도 운전자 개입 없이 차량이 스스로 대처할 수 있는 수준 (출처: 현대자동차 홈페이지)

 


 

기사를 읽고 나니 여러 궁금증이 생겼다.

- 자율주행의 단계와 특징은 각각 무엇일까?
- 전국 자율주행 가능한 곳은?
- 해외에서 운영 중인 자율주행 서비스는?

이에 대해 조사해보았다. 

 

01 자율주행의 단계와 특징

운전자의 개입 정도, 자동차의 자율적 주행능력 등을 기준으로 국제자동차기술자협회(SAE: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International)에서 정한 6단계를 자율주행의 국제 기준으로 통용하고 있다.

국제자동차기술자협회(SAE)에서 정한 자율주행 6단계
출처: SAE 홈페이지

 

위 표를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보았다.

운전자의 역할
자동차의 기능
예시
0단계
자동차의 기능이 작동함과 상관없이, 운전자는 운전을 해야 함
안전을 위해 수시로 자동차의 기능을 감시해야 함
(사실상 자율주행이라 부르지 않음)
경고, 일시적 지원
자동 비상 브레이크, 사각지대 경고, 탈선 경고
1단계
조종 장치, 브레이크 or 엑셀 지원
차선 유지 or 크루즈 기능
2단계
조종 장치, 브레이크 and 엑셀 지원
차로 유지 and 크루즈 기능
3단계
자동차의 (자율주행) 기능이 작동을 할 때, 운전자는 운전하지 않음
자동차가 요청할 시, 운전자가 운전해야 함
제한된 조건 내에서만 자율 주행
교통체증 시 주행
4단계
자동차는 운전자에게 운전 요청을 하지 않음
지역 내 자율주행 택시, 페달이나 운전대 x
5단계
어디서든 자율 주행
4단계와 동일하지만, 조건 없이 어디서나 자율주행 가능

기사 속 4단계는 제한된 조건 하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하며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없는 단계이다.

높은 수준의 자율주행임에도 불구하고, 위치에 제한이 있기에 '로보라이드'도 강남구 및 서초구 일대에서만 운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강남구와 서초구는 어떻기에 4단계 자율주행을 시범 운영할 수 있는 것일까?

간단히 말하자면 C-ITS(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 System), HD맵 등의 인프라가 갖춰져있기 때문이다.

C-ITS는 도로 위 모든 개체를 무선 통신으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고 교통상황에 대응하는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이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강남구, 서초구 일대를 포함한 지역의 자율주행 인프라를 구축해왔기에 해당 지역이 선정될 수 있었다.

자율주행에 필요한 도로, 통신, 네트워크 인프라와 관련한 내용은 방대하기에 단독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우선 C-ITS와 도로 체계에 대해 이해를 돕기 위한 기사를 첨부한다.

https://www.ajunews.com/view/20220320183218676

 

[Tech in Trend] ① 자율주행 앞당기는 차세대 기술, C-ITS | 아주경제

[사진=게티이미지뱅크]내비게이션에 남은 신호 시간이 표시되고, 버스 도착 시간이 1초 단위로 표시된다. 차량, 도로, 사람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받으며 교통을 최적화하고 교통 안...

www.ajunews.com

​2022.10 AIoT 국제 전시회에서 확인한 C-ITS 관련 내용 
https://broadeninsight.tistory.com/10

02 전국 자율주행 가능한 곳

▪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 지정 현황

자율주행 민간기업은 해당 지구에서 자율차를 활용한 여객·화물·유상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임시운행 허가 시 자동차 안전기준 면제 등 규제 특례를 받아 다양한 자율주행 실증서비스를 통한 사업화도 가능하다. 실제로 판교에선 카카오모빌리티를 포함한 여러 기업에서 택시 베타 서비스를 실증한 적이 있고, 청계천에선 노선을 따라 운행하는 버스가 출시될 예정이라고 한다.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 지정 현황
출처: 국토교통부

 

2022.11 청계천 자율주행셔틀 관련 기사 정리
https://ancient-dragon-70a.notion.site/965f2cc7eaaf457f99aa5bf367392fac

 

⭐ 직접 체험해보자!

▫ 상암동 자율주행차

'42dot'과 'SWM' 두 업체가 각각 'A01', 'A02' 면허 번호로 상암동 일대를 순환한다. 탑승 예약은 차량 호출 전용 앱 'TAP!'을 통해 이뤄진다. 현행법상 완전 자동화가 금지되어 있기에, 보호구역에 진입하는 상황을 대비해 운전자가 탑승해있다.

탑승 후기:

https://mediahub.seoul.go.kr/archives/2003785

 

“자율주행차 첫 주행 합격!” 상암동 자율주행차 승차해 보니…

서울시대표소통포털 - 내 손안에 서울

mediahub.seoul.go.kr


 

03 해외 자율주행 서비스 사례

1. 🇺🇸 웨이모(Waymo) by 알파벳

유료 자율주행 택시로, 샌프란시스코와 애리조나 피닉스의 지정 지역에서 운행 시간 제한 없이 운영 중이다.

2. 🇺🇸 크루즈(Cruise) by GM

유료 자율주행 택시로, 샌프란시스코 북서 지역에서 오후 10시-오전 6시까지 운행한다.

3. 🇨🇳 아폴로 고(apollo go) by 바이두

자율 주행 택시로,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등 중국 전역에서 운행 중이다. 도시마다 운영 시간과 유/무료 여부가 다르다.


자율주행의 여섯 단계에 대해 명확히 알기 전까진 테슬라가 높은 수준의 자율주행을 지원한다고 생각했는데, 알아보니 오토파일럿 모드는 2단계 수준이라고 한다. 현재 4단계 이상의 자율주행 성능을 갖춘 서비스를 보유한 국가도 전세계적으로 미국, 중국, 독일 내외이다.

이번 조사를 통해 자율주행을 단계별로 명확히 이해할 수 있었고 상용화되러면 어떤 인프라와 기술이 전제되어야 하는지 알 수 있었다.

자율주행 서비스가 하나의 일상이 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았다.

우선, 정해진 노선을 왕복하는 자율주행 셔틀이나 택시는 일부 지역 내에서 이미 안정적으로 운행되고 있는 만큼 택시 및 운수 업계의 반발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더 저렴한 가격에 사람이 운전하는 것과 차이가 없다면 운전자 없는 교통수단이 보편화될 것이고, 이는 운수업자들의 실직으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사람들의 인식 차이로 인해 크고 작은 문제 또한 발생할 것이다. 자율주행과 자율주행의 필요성, 윤리적 딜레마, 사고 시 책임소재에 대해 국민적 합의에 다다랐다고 보기엔 힘들다. 아직까지 명확하고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정해져 있는 것도 아니다. 그렇게 때문에 기술이 발전해도 자율주행과 관련해 잡음이 끊이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자율주행이 가져올 변화가 기대된다. KT에서 제작한 C-ITS 관련 광고를 본 적이 있다. 생명이 위급한 환자가 구급차에 타자 주변 차량과 교통신호 관제 센터가 이를 감지하고 구급차가 목적지까지 최단 시간 내 이동할 수 있게 신호를 조정한다. 당장 현실화하기엔 무리가 있다. 하지만 모든 차량이 서로의 정보를 주고 받으며(V2V) 효율적인 운행이 가능해진다면 도로 정체와 돌발 상황 최소화로 운전자의 삶의 질이 확실히 높아질 것이 분명하다. 이때 진정한 MaaS(Mobility as a Service)가 실현되지 않을까?

추후에 자율주행에 필요한 IT와 국내 개발 현황을 조사해 게시할 예정이다.

 

댓글